아이의 수술 및 입원 이야기

2024년 겨울 첫째의 갑작스러운 부상으로 병원에 입원해서 수술까지 하게 되었다. 이건 그 이후를 돌아보면서 쓰는 글이다.

2024년 12월 4일(수) 밤. 혼자서 왔다갔다 하면서 장난으로 팔을 흔들던 첫째가 갑자기 울음을 터트렸다. 팔을 흔들다가 벽에 부딪혀서 다친 좀 황당한 상황. 좀 부었지만 괜찮을꺼 같았는데, 다음날도 아파해서 동네 정형외과에 갔더니, 큰병원 가보라고 해서 주변에 있는 대찬병원을 갔다. 그 전에 둘째가 다쳤을때도 같은 프로세스로 대찬병원에 갔었는데, 대찬병원에 소아외과 전문의가 있는건 맞지만, 지금와서 보면, 의례적으로 그 병원으로 외래를 보내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아이엄마가 같이 갔는데 성장판 손상이 의심되어 CT를 찎은 후, 성장판이 골절된건 아닌데 밀렸다는 표현을 하면서 수술을 해야 한다고 한다. 전신마취에 입원까지 해야 한다고 하고 3일은 입원을 해야 한다고 한다.

12월 6일(금). 아침에 입원을 하고 수술을 준비했다. 병원을 가서 입원수속을 하는데 견적을 내 놓은게 처음부터 모두 엄청 높게 되 있다. 의사랑 얘기하면서 왜 큰 수술도 아닌데 입원을 주말까지 해야 하냐고 하니, 바로 하루만 하면 된다고 말을 바꾸고, 수술 후 무통주사를 꼭 해야 하는것처럼 얘기하는데, 회복때 보니 그다지 필요가 없었다. 수술 자체도 골절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고정만으로도 잘 회복할 확률은 꽤 높은 것처럼 얘기를 한다.

이래저래 지적이나 항의를 하지 않으면 상당히 많은 돈을 지불하면서, 아이의 일이기 때문에 불안한 부모의 마음을 이용하는 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근래에 갔던 정형외과와 마찬가지로 실비보험과 더불어 과도한 검사와 치료로 돈을 뜯어먹는 느낌이 들었다.

수술이 끝난 후 물리치료를 받아야 한다면서 갔더니 갑자기 1회에 10만원이 넘는 치료를 4번 이상 받아야 한다고 한다. 일반적인 물리치료도 아니고 고정도 필요없는 상황에 아이에게 그런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하니 그다지 신뢰가 가지 않았다.

둘째 치료때는 나쁘지 않은 느낌이였는데(특히 붕대를 감아주고 고정해주시는 치료사 분의 실력은 꽤 만족스러웠다.) 첫째의 치료 경험을 하고 나서는 병원자체에 꽤 불신이 든다. 다음에 비슷한 일이 있으면 다른 병원을 가봐야 겠다.

둘째의 첫 통깁스

나도 안해본 통깁스를 초딩1학년 여자아이가..

둘째 학원에서 갑자기 걸려온 전화. 손가락을 다친거 같은데 많이 붓었다고 한다. 보니 태권도 도장에서 다쳤는데, 그 다음 보습학원에서 보고 연락을 한걸로 보인다. 가보니 손가락이 좀 붓긴 했는데 잘 모르겠지만 아프다고 하니 주변에 있는 정형외과를 가 봤다.

엑스레이를 찍었는데, 의사가 골절일수도 있으니 큰 병원을 가보라고 해서 의뢰서를 들고 주변에 있는 병원을 갔다. 다행히 소아정형외과 전문의가 있고 금요일 오후였지만 진료가 가능했다. 의사 소견으로 mri찍어봐야 된다고 해서 mri까지 찍었다. 보험이 안되니 가격이… 다행히 골절은 아니지만 인대손상이 있어 3주간은 통깁스를 해야 한다는 처방을 받았다.

3주간의 통깁스. 그래도 잘 나으면 좋은거겠지.

그래도 동네에 갈만한 병원들이 있어서 다행인듯

지독한 감기

금요일부터 시작된 둘째의 감기. 항상 건강해서 병치레도 잘 안하던 아이가 열이 39도로 올라가고 잘 떨어지지도 않는다. 끊임없는 아세트아미노펜과 덱사의 교차투여. 3일째인 오늘이 되어서야 간신히 열이 오르는 간격이 줄어드는 느낌이다. 빨리 좀 나았으면.

물놀이장과 드라마들

물놀이장 시작

주말에 무엇을 해야 할까 또 고민을 하다가 – 집에 있으면 유튜브만 보는 아이들을 보고 있으면 열불이 난다 – 드디어 물놀이장이 개장한다는 소식을 봤다. 작년까지만 해도 구에서 하는 물놀이 장을 안했는데 올해부터 드디어.. 더우기 우리동네에 새 물놀이장도 개장한다. 진짜 이제 코로나가 끝난 느낌이다. 토요일, 공원에 생긴 물놀이장과 놀이터 물놀이장중 놀이터에 가 봤다. 공원쪽은 호수 같은데 물을 채워넣는 곳인데 11시 개장이였는데도 여전히 물을 채워넣고 시작을 안했다. 꽤 재밋게 놀았지만 언제나 체력좋은 둘째는 계속 놀려 하고, 체력약한 첫째는 좀 놀고 집에 가려 하는게 문제. 놀러가도 스트레스는 많은 것이다. 그래도 이제 아파트 물놀이장도 개장하고 하면 당분간은 주말은 물놀이 하면서 보낼수 있을거 같다.

모두가 좋아하는 물놀이

보르텍스

넷플릭스에 있는 프랑스 드라마. 정준희의 해시티비 보다가 다음주 다룰 드라마 라고 해서 봤다. 1편을 봤을때는 약간 타임슬립물의 클리쉐가 너무 많은게 아닌가 했는데 그 이후로는 나름 잘 풀어내서 재밋게 봤다. 다 보고 볼려고 밀어놓았던 시그널을 보기 시작.

주말의 마무리

주말이 마무리 되고 다시 한주가 시작된다. 월요일은 병원에 가서 진단 결과를 듣는날이다. 여러모로 걱정된다. 어떤 결과가 나올지. 금전적인 걱정도 많이 되고. 주말에는 드디어 시험날이기도 하고. 날이 덥다. 집에 있으면 그래도 견딜만 하다.

생일파티와 펄프픽션

생일파티

장인어른 생일파티로 처가에 갔다왔다. 크게 일은 없었지만.. 꽤나 피곤했다. 아무래도 헌혈의 여파인듯. 헌혈하면 이틀 정도는 상당히 피곤하다. 나이의 영향인지. 둘쨰에게 잘못한 것을 얘기하면서 훈육을 할 일이 있었는데 잘 받아들이지 않았다. 아이들에게 잘못한것을 얘기해도 자신의 기분이 먼저라고 생각하는걸 보면 어른이 되어도 저런 사람들은 아이상태로 머물러 있는 사람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펄프픽션

처가에 넷플릭스 셋팅을 하다가 여인의향기 탱고신이 보고 싶어서 잠깐 봤다. 별거 아닌 장면이고 다 아는 장면인데도 뭔가 아련한 감성이 몰려왔다. 춤추는 장면을 보고 있으니 갑자기 펄프픽션의 그 트위스트 장면이 보고 싶어져서 검색을 해보니, 넷플릭스에는 없고 웨이브에 있어서 보기 시작했다. 2시간 반짜리 영화라 이걸 언제 보나 했는데 핸드폰으로도 보고 하다보니 어느새 다 봤다. 재밋는건 진짜 시나리오가 기억이 하나도 안났다는 점. 맨 처음에 강도씬이 마지막 씬이라는거 외에는 내용전개가 이렇게 기억이 안난다는게 더 신기했다. 안보고 밀어놨던 영화들 좀 봐야 하는데.

수업참관, 그리고

코로나가 끝나서 인지 이제 학부모수업참관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게 되었다. 이번주 화요일 첫째와 둘째 모두 같은날. 2교시와 3교시 연속으로 수업참관을 하였다.

크게  특별한건 없는 수업참관 이였지만.. 둘째가 너무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에 마음이 상한다. 다른 아이들과 다른 모습. 선생님과 얘기를 해보니, 혼자만 그런건 아니라는데.. 머리가 나쁘거나 발달이 늦은건 아니고, 단지 자기가 하기 싫어서 그러는거니 더 어떡해 하기도 어렵다. 괜찮다고 생각하면서도 아이앞에 있으니 또 잔소리를 하게 된다.

월요일에 다녀온 성장검사도 걱정이고.. 걱정만 늘어간다.

러닝,체중,양평나들이와 성장클리닉

러닝. 3일 연휴의 여파인가 몸이 굉장히 둔했다. 아주 느린페이스로 러닝. 안한것보단 낫겠지.

다이어트.3일 연휴로 체중이 거의 1.5가 늘었다. 최저 찍고 긴장을 놓고 돌아가는 일이 많았는데 이번엔 그러지 말아야 한다.

양평나들이. 거의 완전한 실패였다. 비가 안오는걸 떠나서 외부수영장밖에 없다보니 물이 너무 차가와 돈만 내고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안에 큰 욕조가 있어서 애들은 좋다고 했지만.. 하지만 100km정도 경기권으로 차타고 오는걸 둘다 잘 하게 되었이니 이제 여러군데로 놀러갈수 있을듯 하다. 언제나 여러가지로 시도를 해 봐야지.

성장클리닉. 성장관련 병원을 알아보는데 쉽지 않다. 예약시간도 가는것도. 너무 늦은건 아니겠지. 뭔가 조바심이 난다. 영양제도 사고.. 확실히 돈이 아쉬워져만 간다.

Thymesia. 대만에서 만든 소울류 게임. 아쉬운 부분들이 있지만 꽤나 잘 만들었다. 꽤 땡기게 하는 매력이 있다. 구독제들어와서 좋은 게임.

주말의 끝과 공테이프 만들기

또 주말이 지나갔다. 주일보다 주말에 뭘 할지가, 뭘 먹을지가 항상더 고민이기에 부담인 주말이다. 이번주말은 거의 집에서 보냈다. 너무 집에만 있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어떤게 맞는건지 항상 고민이 많다.

아이들의 요청으로 (이 모든것은 다 유튜브탓) 공테이프 만들기용 테이프를 사서 놀아봤다. 그냥 테이프로 뭉치는거 아닌가 했는데 굉장히 얇은 테이프로 공을 만들고 마지막에 그걸 또 잘라서 모양을 만드는 뭔가 특이한 유행이였다. 하지만 생각보다 가격이 좀 있다. 이정도 테이프에 색깔 넣었다고 이정도 가격이라니? 이런 느낌.

새 한주도 잘 보내고 새로운것을 시작할 계획을 좀 세워봐야 겠다.

이렇게 조그마하게 공을 뭉치고 뭉친다

올해의 어린이날 선물(포켓몬과 시나모롤)

매년 돌아오는 어린이날. 어린이날/크리스마스/생일 3번의 선물 아이들의 기대. 매년 바뀌는 선물이지만 올해는 둘다 취향이 확고해져서 종류가 두개로 줄었다.

작년까지는 공룡이 메인이였던 둘째는 이제 포켓몬으로 완전히 돌아섰다. 완구점을 돌아다니면서 고른건 포켓몬 크레인(기기 자체는 괜찮지만 포켓몬은 2개만 들어있음), 포켓몬 슈팅배틀(비슷한 기기들에 스티커만 다른 제품도 많은 캐릭터 상품이지만.. 기기자체는 잘 만든편), 그리고 말하는 피카츄(크기에 비해 상당히 비싸지만 나름의 음성인식이 괜찮다.)

올해는 취향이 완전히 시나모롤로 되버린 첫째는 시나모롤 캐리어(알리발. 생각보다 빨리와 어린이날 주는게 가능해짐), 산리오 Who Are You인형(뭐가 나올지 모르는 산리오 인형 셋트. 동그랗게 말려 있는데 물에 넣으면 인형이 된다. 인형의 퀄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가격. 가챠식. 돈젤 아까운 녀석.), 그리고 산리오 스티커 메이커(딱히 사고 싶진 않았지만 산 느낌).

이것으로 마무리된 어린이날 선물. 과연 내년에는 어떤 걸 고르게 될런지. 그 전에 생일과 크리스마스가 오겠군.